- 국립산림과학원, 송이감염묘 인공재배로 7년 연속 송이 발생 성공
![]() |
송이감염묘는 송이버섯이 나던 곳에 어린 소나무를 심어 뿌리에 송이버섯 균을 감염시킨 후 큰 소나무가 있는 산에 다시 옮겨 심어 송이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사진=국립산림과학원] |
[한국영농신문 김찬래 기자]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은 올해도 송이감염묘를 이용한 인공재배로 송이버섯을 얻었다고 밝혔다. 2010년 처음 연구를 추진하여 버섯이 발생한 이후, 2017년부터 2023년 올해까지 7년 연속으로 버섯이 발생한 것이다.
송이감염묘는 송이버섯이 나던 곳에 어린 소나무를 심어 뿌리에 송이버섯 균을 감염시킨 후 큰 소나무가 있는 산에 다시 옮겨 심어 송이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다.
송이버섯은 홍천 시험지에서 2010년 1개가 발생한 이후, 2017년 5개, 2018~2019년 각각 1개, 2020년 21개, 2021년 2개, 2022년 11개가 발생하였으며, 2023년에는 현재까지 10개가 발생했다. 올해는 9월, 이상고온 현상으로 인해 버섯 발생(9월 29일)이 예년(9월 12일)보다 17일 늦어졌으나 생산기간은 13일로 예년(12일)과 유사하였다.
송이는 최근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종의 보전 상태가 ‘취약’으로 지정되었으며,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다고 진단되었다. 이는 병해충에 의한 소나무림 감소, 산림파괴, 부영양화, 벌채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하지만 간벌, 가지치기, 하층식생 정리, 지피물 제거작업 등의 숲가꾸기를 실시하면 송이가 지속해서 발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홍천 송이 시험지는 이러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매년 버섯을 생산하고 있다.
산림미생물연구과 장영선 연구사는 “송이감염묘의 발생률을 높이고, 좀 더 쉽게 인공재배할 수 있는 연구개발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찬래 기자 kcl@youngnong.co.kr